자폐증: 사실과 최신 연구 결과

자폐증은 발달 장애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고도 하는 자폐증은 치료법이 없는 평생 지속되는 질환으로, 아이가 주변 세상과 소통하고 사회화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생후 2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조기 경고 징후는 6개월 이내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폐증의 중증도는 아이마다 다르지만, 자폐증과 관련된 특징적인 징후는 모두 동일합니다. 조기에 인지하고 개입하면 아이가 미래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개입 없이 너무 오래 방치하면 아이와 부모가 혼자서 이 상태를 감당하기 어려워집니다.

6개월이 지나면 자폐증에 걸린 아이는 미소나 다른 따뜻한 표정을 보이지 않습니다. 생후 9개월이 되면 영아는 소리와 몸짓에 반응하는 등 의사소통의 흔적을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생후 1세가 되면 이름에 대한 반응이 부족하고 옹알이나 다른 유형의 아기 말을 하지 않으며 가리키기, 손 흔들기, 손 뻗기 등의 제스처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16개월이 되어도 여전히 말을 하지 못하고 말을 하려는 시도도 하지 않습니다. 만 2세가 되면 아이들은 스스로 두 단어 문장을 구성하지 못하고 주변에서 듣는 말을 반복하거나 흉내를 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폐증 증상은 점점 더 심해지고 부모와 또래 친구들에게 더 명확해집니다. 자폐증의 증상은 사회적 어려움, 언어 및 말하기 어려움, 비언어적 의사소통 어려움, 융통성 부족의 징후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많은 자폐아들은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사회적 어려움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만지거나 껴안거나 안아주는 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 ‘척 게임’을 하거나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않고 장난감을 창의적인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감정을 이해하거나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다른 사람이나 주변 환경에 대해 거리를 두고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다른 사람이 말을 해도 듣지 않는 것 같습니다.
  • 다른 사람들과 물건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언어 및 말하기 어려움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필요나 욕구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질문에 귀 기울이지 않고 반복하는 방식으로 응답합니다.
  • 간단한 진술, 지시 및 질문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 이상한 음정이나 리듬을 사용하는 등 비정상적인 목소리 톤으로 말합니다.
  • 언어를 잘못 사용하거나 자신을 3인칭으로 지칭할 수 있습니다.
  • 의사 소통의 의도가 없이 같은 단어나 구를 반복해서 말합니다.
  • 아이러니, 유머, 풍자와 같은 언어의 미묘한 어조를 이해하지 못함.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신이 말하는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표정을 사용합니다.
  • 제스처를 거의 하지 않으며 딱딱하고 로봇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서툴고 발끝으로만 걷는 등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합니다.
  • 눈을 마주치는 것을 피합니다.
  • 다른 사람의 표정, 목소리 톤, 제스처를 이해하지 못함.
  • 주의를 끌기 위한 다른 사람의 시도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 시각, 냄새, 소리에 비정상적으로 반응합니다.

융통성이 없는 징후

  • 딱딱한 일상을 따라야 합니다.
  • 일상에 변화가 생기면 거칠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종종 숫자와 기호와 관련된 좁은 관심 주제에 집착합니다.
  • 움직이는 물체를 오랫동안 보거나 물체의 한 부분에만 집중합니다.
  • 같은 행동을 반복해서 반복합니다.

반복 행동에는 손을 계속 펄럭이기, 손가락 핥기, 물체에 머리 부딪히기, 원을 그리며 돌기, 앞뒤로 흔들기, 눈앞에서 손가락 움직이기, 귀 두드리기 등이 포함됩니다.

연구 및 조사 결과

최근까지 자폐증은 전적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환경적 요인과 외부 요인도 자폐증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태아기 환경도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임신 중 중금속 및 살충제와 같은 오염 물질과 임신 중 산모의 감염도 위험 요인을 증가시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항우울제를 복용한 임산부는 자폐아 출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자폐아는 유아기 동안 뇌가 훨씬 더 크고 뇌 부피가 증가하며, 이는 유아의 발달 과정에서 MRI 영상을 통해 관찰되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뇌 활동은 연구자들이 고위험군 아동이 미래에 실제로 자폐증이 발병할지 여부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148명의 유아 그룹을 위험 요인에 따라 선정했습니다. 자폐증이 있는 형제자매가 있어 아이가 자폐증에 걸릴 확률이 높은 그룹과 가족 중에 자폐증 병력이 없는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연구진은 2세까지 자폐증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지만, 자폐증이 어떻게 발병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요인이 자폐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예측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일부 질환의 발병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필수적이므로, 이번 연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입니다.